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주한 중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주한 중국 대사관은 대한민국에 주재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 공관이다. 1882년 청나라가 대사관 부지를 매입한 것을 시작으로, 청나라, 중화민국 시기를 거쳐 1992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과 수교하면서 현재의 대사관이 명동에 개설되었다. 2002년 재건축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이전했다가 2014년 재개관했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부산광역시에 설치한 영사관으로, 1993년 설립되어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관할하며, 국민의 여권 및 비자 발급 업무를 수행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미국 중국 대사관
    주미국 중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으로, 1875년 청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어 1979년 미·중 수교 이후 현재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부산광역시에 설치한 영사관으로, 1993년 설립되어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관할하며, 국민의 여권 및 비자 발급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주재 공관 - 주부산 몽골 영사관
    주부산 몽골 영사관은 2016년 3월 10일에 개관하여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를 관할한다.
  • 대한민국 주재 공관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주한 중국 대사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주한 중국 대사관 정문
공식 명칭중화인민공화국 주 대한민국 대사관
현지어 명칭중국어:
한국어: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길 27
옛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효자동 효자빌딩
웹사이트주한 중국 대사관 웹사이트
상세 정보
개관1992년 개관
관할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상급 기관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산하 기관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광주 중국 총영사관
주제주 중국 총영사관
대사싱하이밍

2. 공관 연혁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가 수립되면서,[6]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에 앞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7][8] 같은 해 8월 27일 주한 중국 대사관이 명동에 개설되었고,[9] 9월 23일부터 내부 공사 절차가 시작되었다.[10][11] 1993년 2월 5일 주한 중국 대사관이 공식 입주하였고,[12] 2월 8일 정식 업무를 시작했다.[12]

2002년 5월, 명동 부지의 개보수 및 재건축으로 인해 청사는 종로구 효자동 효자빌딩으로, 영사부는 광화문 교보빌딩으로 임시 이전했다.[4] 2014년 1월 23일, 명동에서 재개관식을 개최했다.[13]

새로 건설된 대사관은 10층짜리 사무실 건물과 24층짜리 숙소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새 대사관은 18000m2의 부지를 차지하며, 주한 미국 대사관 (9871m2)과 주한 러시아 대사관 (12012m2)보다 넓다. 이는 중국 대사관 중에서는 주미 중국대사관 (23000m2)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규모이다.

2. 1. 청나라 및 중화민국 시기

1882년 조선청나라 사이에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이 체결됨에 따라 청나라 정부가 대사관 부지를 매입했다.[5] 1883년에는 한성상무공서(漢城常務公署)가 설립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 시기에 일본 제국 군대가 한성상무공서를 공격하여 폐쇄되었다. 1896년에는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서(總領事署)가 설립되었다. 1898년 대한제국 주재 청나라 공사관이 설립되고 흠차대신(欽差大臣)이 파견되었다.

1906년 을사조약 체결로 대한제국 주재 청나라 공사관이 폐쇄되었으나,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서는 주한성 청나라 총영사부(總領事府)로 유지되었다. 1912년 신해혁명으로 중화민국이 수립됨에 따라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1937년 중일 전쟁 시기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중화민국 임시정부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의 소유권이 넘어갔다. 1940년에는 일본 제국의 괴뢰 정권인 왕징웨이 정권에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의 소유권이 넘어갔다. 1945년 일본 제국의 중일 전쟁 패전으로 주경성 중화민국 총영사관이 폐쇄되었다.

1946년 주서울 중화민국 총영사관이 설립되었다. 1949년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간 외교 관계 수립으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고 중화민국과 단교하면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건물 및 자산을 대한민국 정부에 인수하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이관하였다.[6][7][8] 1992년 8월 27일, 주한 중국 대사관이 명동에 개설되었다.[9] 1993년 2월 5일, 주한 중국 대사관이 공식 입주하였다.[12]

2002년 5월, 명동 부지의 개보수 및 재건축으로 인해 주한 중국 대사관은 종로구 효자동 효자빌딩으로, 영사부는 광화문 교보빌딩으로 임시 이전했다.[4] 2014년 1월 23일, 명동에서 재개관식을 개최하였다.[13]

3. 역대 공관장

역대 주 대한민국 중국 대사 명단
대수이름중국어 이름신임장 제정일비고
제1대장팅옌张庭延|장팅옌중국어1992년 9월 15일[9]
제2대우다웨이武大伟|우다웨이중국어1998년 9월 24일[9]
제3대리빈李滨|리빈중국어2001년 10월 24일[9]
제4대닝푸쿠이宁赋魁|닝푸쿠이중국어2005년 9월 26일[9]
제5대청융화程永华|청융화중국어2008년 11월 10일[9]
제6대장신썬张鑫森|장신썬중국어2010년 4월 1일[14]
제7대추궈훙邱国洪|추궈훙중국어2014년 2월 13일[15]
제8대싱하이밍邢海明|싱하이밍중국어2020년 2월 7일[16]


4. 관할 구역 및 산하 기관

주한 중국 대사관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관할한다.

4. 1. 산하 총영사관


5.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Chinese and South Koreans Formally Establish Relations https://www.nytimes.[...] 2023-10-28
[2] 웹사이트 【圖輯】照片看歷史/1992年台韓斷交 民情激憤南韓使館前抗議 {{!}} 聯合報 https://vip.udn.com/[...] 2023-10-28
[3] 웹사이트 中韩建交系列(之四)中国驻韩使馆修了仨月 https://news.sina.co[...] 世界新闻报 2020-09-08
[4] 뉴스 回來! 중국대사관 11년 만에 명동 귀환 http://news.chosun.c[...] 주간조선 2019-01-18
[5] 뉴스 한중 수교 뒤 대만 대사관 터 소유권 관심 https://newslibrary.[...] 2023-01-29
[6] 웹인용 공관약사 http://overseas.mofa[...]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2019-01-18
[7] 뉴스 정부, "中国(중국)에 귀속" 공식 입장 https://newslibrary.[...] 2023-01-29
[8] 뉴스 모든 臺灣(대만) 자산 中國(중국)에 귀속 https://newslibrary.[...] 2023-01-29
[9] 간행물 중국개황2017 대한민국 외교부 2017-11
[10] 뉴스 中國(중국)대사관 23일 明洞(명동)입주 앞두고 준비 부산 https://newslibrary.[...] 2023-01-29
[11] 뉴스 臺灣(대만) 철수때 시설 화풀이훼손 明洞(명동) 中國(중국)대사관 보수 불가피 https://newslibrary.[...] 2023-01-29
[12] 뉴스 中國(중국)대사관 明洞(명동)입주 https://newslibrary.[...] 2023-01-29
[13] 뉴스 초대형 中대사관 조촐한 ‘집들이’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9-01-18
[14] 뉴스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 부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1-18
[15] 웹인용 추궈홍 대사 한국 외교부에 신임장 사본 제정 http://kr.china-emba[...] 주한 중국 대사관 2019-01-18
[16] 웹인용 文대통령, 신임 일본·중국대사로부터 신임장 받아 http://www.polinews.[...] 2020-02-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